초등 수학, 암기보다 '이것'이 먼저입니다 – 부모가 꼭 알아야 할 팁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오늘의 리뷰해볼 영상은
유튜브 가든 패밀리의 "유, 초등때 수학을 이렇게 접한 아이들이 중고등 가서 끝까지 해냅니다." | 놀면서 연산과 도형 감각을 키우는 아이들의 특징 | 선행보다 훨씬 중요한 이것!
라는 제목의 영상입니다.
저희아이가 6세가 되었는데, 주변에서 사고력 수학에 대한 얘기가 많이 들려오더라구요. 사고력 수학학원을 꼭 보내야하나 라는 고민을 하던중 이 영상을 보고 유레카!를 외쳤습니다.
아래에서 하나라도 해당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영상입니다:)
* 우리아이가 1부터 100까지 센다! 이제 학습지 시켜볼까?
* 집에서 어떻게 하면 쉽게 수학정서를 높여줄 수 있을까? - 계란판으로 사칙연산 알려주기!
* 일상에서 도형 감각을 어떻게 알려주면 좋을까?
수학을 잘하는 아이들은 단순 암기보다 개념을 체험하며 이해합니다. 부모의 접근법과 실생활 교구 활용이 학습 효과를 높이며, 수학에 대한 긍정적 정서 형성이 핵심입니다.
💡 수학 학습에 대한 부모님들의 흔한 오해는 무엇인가?
많은 부모님들이 다음과 같은 오해를 갖고 아이를 지도합니다:
"가르쳐주면 당연히 알겠지"
"읽고 쓸 수 있으니 수학도 잘할 수 있을 것"
"수학은 문제집으로만 공부하면 된다"
"학원에 보내면 해결된다"
"선행학습이 제일 중요하다"
하지만 이런 접근은 수학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리고, 오히려 수학을 포기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부모의 수학 교육 오해와 올바른 접근
아이들이 숫자를 읽고 쓴다고 해서 수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한 것은 아닙니다. 수학적 개념은 반복 경험을 통해 축적되며, 숫자를 세고, 비교하고, 묶어보는 활동을 통해 구체화됩니다.
예를 들어, "하나, 둘, 셋" 숫자를 외우는 것은 마치 노래 가사를 외우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그 숫자가 뜻하는 실제 양을 이해하는 건 전혀 다른 이야기죠.
선행학습보다 제대로 학습하는 것이 더 중요하며, 진도만 나가는 선행은 부작용이 많습니다. 초기 교육에서는 수학을 싫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덧셈이나 뺄셈을 어려워한다면..!
덧셈이나 뺄셈을 할 때 손가락을 사용하는 친구들은 머릿속으로 수가 잘 그려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7 + 8을 계산할 때
, 손가락으로 세는 대신 '10 만들기'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요 . 7에 3이 더 필요하니, 8에서 3을 가져와 10을 만들고 남은 5를 더해 15가 되는 식이죠
. 이게 머릿속에서 빠르게 계산되어야 해요 . 이런 계산 능력을 키우기 위해 직접 만져보고 경험하는 활동이 필요해요
. 10구짜리 얼음틀이나
계란판 을 활용해 보세요. 블록 이나 바둑돌을 넣고 빼면서10의 보수 개념을 재미있게 익힐 수 있답니다. 얼음틀의 빈 칸을 보면서 전체 10개에서 비어 있는 만큼을 빼면 몇 개가 채워져 있는지 유추하는 연습을 할 수도 있어요
👉 추천 제품: 계란판/수 세기 교구
🧮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 접근 방식
연산을 시작하기 전, 수를 충분히 세어보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수를 묶고 나누는 훈련 없이 구구단을 외운다면 단순 암기로 끝나고,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6×4는 단순히 외우는 것이 아니라, '6이 4묶음'이라는 개념을 시각화하고 몸으로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 추천 제품: 수학 멀티 연산 보드
멀티 보드를 활용하면 곱셈, 나눗셈을 칸으로 나누어 직접 만들어보며 연산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문제를 눈으로만 보지 않고, 손과 눈을 함께 쓰며 익히는 '체화형 학습'이 가능해집니다.
📏 선행학습보다 중요한 수학 정서
선행학습이 반드시 해답은 아닙니다. 아이가 아직 개념이 익지 않은 상태에서 진도를 나가면, 결국 자신감만 잃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학년 수준에 맞는 탄탄한 이해'입니다.
수학을 잘하게 만드는 가장 큰 힘은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입니다. 수학이 재미있고 신기하다는 경험이 쌓이면 아이는 스스로 학습을 이어갑니다.
👉 추천 제품: 100칸 수 배열표
수 배열표는 1부터 100까지 숫자를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한 표입니다. 오른쪽으로는 1씩, 아래로는 10씩 커지는 규칙을 통해 덧셈/뺄셈의 기본 원리를 감각적으로 익힐 수 있습니다. 숫자를 이동시키며 문제를 풀면 계산이 더 쉬워지고 재미도 배가됩니다.
🔺 도형 탐색이 중요한 이유
도형은 추상적 개념이라 어려워하는 아이가 많습니다. 특히 고학년이 되면 도형 문제가 갑자기 많아지는데, 도형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면 이해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도형 문제를 풀 때 시험지를 돌리거나 아이 스스로 몸을 돌려가며 상상하는 아이들이 있는데
, 이는 도형을 머릿속으로 상상하는 것을 어려워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릴 때부터 도형을 직접 만져보고 탐색하는 과정이 꼭 필요해요
. 특히 전개도가 나왔을 때는 아이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요
. 이럴 때
전개도 를 직접 오리고 접어보는 경험이 정말 중요해요. 어디랑 어디가 만나는지 직접 확인해야 이해할 수 있거든요 . 유아 때는 단순히 접고 쌓아보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 초등 중학년 이상이 되면 단순히 접는 것을 넘어 도형을 분석하는 연습이 필요해요 . 직접 접어보고 분석하면서 점이나 선이 펼쳤을 때 어디에 위치하는지 스스로 파악하는 경험이 중요하답니다
. 문제만 풀지 말고 직접 잘라서 확인하며 푸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
👉 추천 제품: 도형 전개도 만들기 세트
정육면체, 삼각뿔, 각기둥 등 다양한 입체 도형을 직접 전개도에서 만들면서 입체와 평면의 연결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수학적 시각화 능력과 공간 지각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켜주는 도구입니다.
📊 수학적 정서와 사고력 향상을 위한 환경 만들기
아이의 수학적 감각은 교재보다 환경이 좌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학책만 보는 것이 아니라, 주방에서 계량컵으로 양을 재거나,
욕실에서 타일 개수를 세어보는 활동도 훌륭한 수학 경험이 됩니다.
또한 부모가 수학을 걱정하며 불안을 전달하면 아이는 수학을 스트레스로 느낍니다. 실패해도 괜찮다는 태도로 다양한 시도를 응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수학에 대한 긍정적 접근과 부모의 역할'
아이에게 수학은 실력 이전에 감정이 중요합니다. “수학이 재미있다”는 기억을 심어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교육입니다.
실패해도 괜찮아.
다시 해보자.
재미있네? 이걸로 또 해보자!
이런 말을 자주 들은 아이는 수학이 두렵지 않고, 도전할 수 있는 과목이 됩니다. 교구가 있다면 더 쉽게 시작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수학을 놀이처럼 받아들이게 됩니다.
마무리하며...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수학을 좋아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수학 머리를 키울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당장 아이의 성적이 마음에 들지 않아 답답하더라도 좀 더 멀리,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 주세요 .
우리 아이는 아직 고3이 아니잖아요 ! 지금 시작해도 충분히 늦지 않았으니 , 아이가 수학을 어떻게 하면 좋아하게 만들지에 집중한다면 제대로 된 실력을 갖추고 끝까지 해낼 수 있을 거예요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수학을 좋아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수학 머리를 키울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당장 아이의 성적이 마음에 들지 않아 답답하더라도
우리 아이는 아직 고3이 아니잖아요
위에서 언급한 아이템 모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